사업소개

BUSINESS

유지보수사업

1. 태양광발전 유지보수

가. 태양광발전시스템은 정기적으로 유지보수를 실시함으로써 효율의 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나. 특히 모듈의 오염, 서지에 의한 파손, 인버터 등 부품의 한계수명, 전기회로의 이상, 그림자 등 일사 방해요소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초기의 발전효율을 유지하도록 관리에 힘써야 한다.

다. 옥외에 노출되어 환경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은 설치 후 정기적인 유지보수 관리를 게을리하면 지속적인 효율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2. 태양광발전 효율 저하의 주요 원인

가. 적설(赤雪) - 100%
 - 발전효율 저하의 가장 큰 요인으로 눈에 의한 HOT-SPOT Effect 발생

*HOT-SPOT Effect: 일부 눈이 쌓여 있어도 셀들이 직렬로 구성된 태양광 모듈 전체의 출력이 급감하는 현상.
즉, 일부에 음영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음영이 발생한 부분만 출력이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역기전력에 의해 직렬로 연결된 모듈 전체의 출력이 저하되는 현상

나. 과열 - 20%
 - 표면온도 상승으로 인한 출력 저하(일시적 출력 저하)
 - 열화로 인한 출력 저하(모듈의 영구적 출력저하 및 수명 단축)
 - 효율저하의 가장 높은 원인

다. 오염- 10%
 - 비산먼지, 황사, 조류분비물 등에 의한 표면 오염
 - 황사, 꽃가루 등 우리나라의 기후 여건상 악영향 많음, 세척여부에 따라 평균 9.3% 출력감소 발생

3. 유지관리 절차

유지관리의 점검결과 발견되는 초기의 변형이나 결함을 파악하여 합리적으로 대처함을 목표로 한다.

4. 유지관리 점검 목록

항 목 유지보수 활동
1. 태양전지 어레이 구조 가. 부식, 손상에 대한 육안 검사
나. 곤충(해충)의 제거
다. 구조의 페인트 상태
2. 태양전지 모듈 가. 유리의 청소
나. 부식, 손상에 대한 육안 검사
다. 곤충(해충) 및 음영제거
3. 접속함과 배선의 결선 가. 부식, 손상에 대한 육안 검사
나. 케이블의 연결 상태, 케이블의 과열
다. 접속함의 인입선 전압 점검
라. 접속함의 외관검사 및 출력 전압 측정
4. 인버터와 그 밖의 패널 가. 외관의 물리적 손상 육안 검사
나. 곤충(해충)의 제거
다. 전력망의 전원공급 및 동기화 육안 점검
5. 제어반 가. 제어반 내 청소
6. 모니터링 가. 인버터 또는 어레이의 출력 모니터링
나. 발전소 성능 데이터 기록
7. 전기실 가. 곤충(해충) 및 포유류의 침입 확인
나. 판넬의 변형, 누수 확인
다. 전기실 청소